생각대로...

7월에..

은빛여울 2009. 7. 1. 18:00


過香積寺 과향적사

不知香積寺 부지향적사 
數里入雲峯 수리입운봉 
古木無人逕 고목무인경 
深山何處鐘 심산하처종 
泉聲煙危石 천성연위석 
日色冷靑松 일색랭청송

 薄暮空潭曲 박모공담곡 
安禪制毒龍 안선제독룡 

알지도 못하고 향적사 찾아가다
구름 깊은 곳에 들었네.


고목 속으로 길은 사라졌는데
어디선가 종소리 들려 오네.


개울물은 괴이한 돌부리에 울리고
햇빛은 소나무에 차갑게 빛나고 있네.


해질녘 고요한 연못가에 앉아
禪定에 들어 번뇌를 잠재우리.

 

모든 사람들이 다 고요한 선정에 들어 번뇌를 잠재울수만  있다면

그 얼마나  다행한 일일까  그리만 된다면 극심한 고통따위는

 미풍처럼 지나갈수도 있지 않을소냐.

비명으로 세상을 하직하는 분들이 안타까워 해보는 말이다.

 

 

지난번 화양구곡에서 찍은 이 사진이 호평이라 올려본다.

싯귀가 절로 우러나올듯하지 않는가

*중국 서안 ㅡ 향적사 (香積寺)
당나라 때인 706년에 창건된 중국 정토종의 본산인 사찰로,
시인인 왕유(王維:701∼761년)의 오언율시

'과향적사(過香積寺)'로 유명한 곳.

높이 33m인 벽돌탑인 선도고탑(善導古塔) 등이 있고, 선도대사(善導大師)의
상이 있는 대웅보전이 건축되어 있다.
서안 시내에서 남쪽으로 약 17㎞ 정도 떨어진 곳에 있다.

699 중국 산시 성[山西省] 치 현[祁縣]~759.
중국 문화사의 황금기에 활동한 유명한 예술가·문인.
 
자는 마힐(摩詰). 시·음악·그림으로 표현되는 인문 교육의 귀감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17세기의 화가이자 문인인 동기창(董基昌)은 그의 화론서에서 왕유를 남종화(南宗畵)의 시조로 규정했다.
 남종화는 문인 취향의 그림으로서, 피상적인 묘사보다는 개인적인 감정 표현에 더 많은 관심을 가졌다.
 
그는 이백(李白 : 701~762)·두보(杜甫 : 712~770) 등의 유명한 당대 시인들과 함께
서정시 형식을 완성한 시인으로 손꼽힌다.


 



왕유王維(701∼761)

 

서예세상 지기님이 챙겨 보내주신 소중한 자료라 올려놓는다.

왕유의 한시를 좋아하기도 하기에.

 

 

   

 

 

 

 

7월에도 무탈하여 매일 이 작은 산에 아침마다 오를수 있기를 빌어본다.